보안솔루션
일반적인 기업에서 사용하는 보안 솔루션 中 내부 정보 유출에 대한 보안 솔루션 3가지(DLP, DRM, 문서중앙화)에 대해 비교해보겠습니다.
쉽게 풀어보자면 DLP는 유통에 대한 보안, DRM은 사용자에 대한 보안, 문서중앙화는 자산에 대한 보안으로 나눌수 있으며 도입하고자 하는 보안 솔루션의 목적과 상황에 따라 해당 솔루션을 구축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DLP(Data Loss Prevention, 데이터 손실 방지) 란?
DLP는 데이터 유출방지 시스템으로 기업 정보, 제품 기획, 소스코드와 같은 지적 재산(IP)을 포함하는 기밀 정보 등이 기업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 구성원의 보안의식을 고취를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입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컨덴츠의 유출 탐지, 매체 제어, 외주 유출 승인 등이 있습니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란?
DRM은 문서암호화 시스템으로 정보 자산을 암호화하여 외부로 유출되었을 때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입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문서 암호화, 문서별 권한 설정, 문서 반/출입 통제 등이 있습니다.
문서중앙화란?
문서중앙화 시스템음 기업의 무형 자산인 기밀문서 및 CAD도면과 같은 중요 정보를 개인 업무용 PC에 보관하지 않고 서버에 강제적으로 보관하여 중앙서버 저장소에 보관하여 관리/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입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파일 저장 통제, 읽기/쓰기 통제, 폴더 접근 통제, 데이터 백업/복구 등이 있습니다.
주요 기능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세요^^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서버(Windows Server)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 세션 제한시간 설정 방법 (0) | 2022.03.11 |
---|---|
랜섬웨어 대응 솔루션(사전 방어 VS 사후 복구) (0) | 2021.10.18 |
보안 USB란? (0) | 2021.09.27 |
랜섬웨어(Ransomware)란? (0) | 2021.09.25 |
컴퓨터 악성코드 바이러스 제거 멀웨어 제로 (MZK) 프로그램 사용방법 (0) | 2021.08.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