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연결을 위해 필수적으로 네트워크에 연결을 해야 합니다.
유선 랜 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무선 WIFI를 연결하는 방식 두가지가 있는데요.
오늘은 노트북이나 핸드폰 무선연결(WIFI) 방식이 아닌
유선 랜 케이블에 대해 소개해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WIFI는 환경에 따라 속도 차이가 분명히 나게됩니다.
우선 무선 AP 혹은 공유기 장비의 설정 차이
또는
환경의 차이
(무선 사용자가 주변에 많거나 무선 장비와의 중간에 벽이 있거나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럴경우에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사용하기 불가하기 때문에
안정성과 속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조금 불편할수 있지만 유선 랜(UTP 케이블)을 연결하시는게 바람직합니다.
무선 네트워크(WIFI)는 노트북 무선 연결 혹은 핸드폰 연결 등을 하여 사용하는 편이고
반면
유선 랜 연결(UTP)은 서버 혹은 설비 등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많이 사용하며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끊김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는 중요 단말기에 적용하게 됩니다.
유선 랜을 연결하게 되면 무선 네트워크 대비
안정성과 속도가 보장되기 때문에
화상회의, 동영상 시청 등의 네트워크 트래픽이 예상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하시기 위해서는
유선 랜 연결을 적극 추천드립니다.
WIFI는 대중적으로 이미 많이 알고 계시는 사항이라
유선 랜 케이블(UTP 케이블)에 대해서 설명하겠습니다.
UTP 케이블이란
랜선(LAN CABLE)이라 불리기도 하고 유선 네트워크, 인터넷 선이라고도 부릅니다.
UTP케이블 종류
UTP(Unshielded Twist Pair)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UTP 케이블
FTP(Foil Screened Twist Pair) - 내부 케이블을 은박이 감싸고 있는 케이블
STP(Shielded Twist Pair) - 쉴드 처리가 되어 있는 케이블
유선 케이블 설치시 연결거리와 속도, 안정성에 따라 케이블과 규격을 정할수 있습니다.
케이블 규격
CAT 5 - CAT 5e가 보편화 되면서 현재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규격입니다. (최대 속도 100Mbps, 대역폭 100Mhz)
CAT 5e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격으로 주변에서 랜선을 보게 된다면 대부분 이 케이블이라고 볼수있다. (최대 속도 1Gbps, 대역폭 100Mhz)
CAT 6 - 서버실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케이블로 5e 대비 빠른 속도와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최대속도 1Gbps, 대역폭 250 Mhz)
CAT 6a - 이 케이블 역시 CAT 6와 동일하게 서버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케이블로 최대속도 10Gbps를 지원한다.
CAT 7/CAT 7a - 차세대 규격이라고 볼수 있으며 현재 대중화 되어 있지 않아 찾아보기 힘들다.
케이블 접속도
다이렉트 케이블(Straight-Through Cable) - 서로다른 매체를 사용할 때 사용하며
예를 들어 PC to HUB로 연결할 때 HUB의 내부구조는 송신과 수신을
엇갈리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이렉트케이블로 연결한다.
크로스 케이블(Crossover Cable) - 서로 같은 매체끼리 연결하는데 사용한다.
스위치 대 스위치, 허브 대 허브, 라우터 대 라우터,랜카드 대 랜카드
이런식으로 같은 장비를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기타 문의사항은 댓글 남겨주세요^^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FTP ACTIVE MODE와 PASSIVE MODE의 차이점 (0) | 2021.09.26 |
---|---|
PC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 인터넷 속도 점검 (0) | 2021.07.28 |
IP 주소란? (0) | 2021.07.13 |
내 아이피 주소 확인, 컴퓨터 IP 확인하는 방법 (0) | 2021.07.13 |
댓글